본문 바로가기
Korean Language/교수

(동)-게 하다 / V-게 하다 / 중급 보조동사

by Flicia 2022. 8. 14.

문법 보러 가기

 

도입

(1)
교사: 왕밍 씨, 창문을 닫으세요.
학생: 네.
교사: 여러분, 누가 창문을 닫았어요?
학생: 왕밍 씨요.
교사: 누가 왕밍 씨에게 창문을 닫으라고 했어요?
학생: 선생님이요.
교사: 선생님이 왕밍 씨에게 “창문을 닫으세요.”라고 했어요. 선생님이 왕밍 씨에게 창문을 닫게 했어요.

(2)
교사: (책을 보고 졸려 하는 시늉을 하며) 줄리아 씨, 이 책이 재미있을 것 같아요?
학생: 아니요, 재미없을 것 같아요.
교사: 네, 이 책이 재미없어요. 그래서 이 책을 보면 선생님이 졸려요.
이 책이 선생님을 졸리게 만들었어요.이 책이 선생님을 졸리게 했어요.

* (1)과 같이 교실에서 학습자에게 명령하는 상황을 통해 ‘-게 하다1)’이 가지는 사동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이때 명령을 하는 주체와 명령을 수행하는 대상에 대한 제시를 명시적으로 해야 한다.
* (2)는 사물을 주어로 하는 상황이며, 사물이 어떠한 행동을 하도록 만들었음을 설명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의도적으로 시키지는 않았지만 어떠한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경우에도 ‘-게 하다1)’을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담화 예문

가: 줄리아 씨, 왜 매일 도서관에 가요?
나: 선생님께서 매일 2시간씩 한국어를 공부하게 하셨어요
.
가: 공부를 도서관에 앉아서만 해요? 그럼 재미가 없잖아요.
나: 선생님께서 한국 드라마나 영화도 자주 보게 하세요

가: 수지 엄마, 아이들을 몇 시까지 놀게 할까요?
나: 8시까지요.
가: 너무 늦지 않을까요? 내일 학교도 가야 하는데.....
나: 그럼 너무 늦지 않게 7시까지만 놀게 해요

 

문장 예문

· 너무 더워서 학생들에게 창문을 열게 했어요.
· 아이가 피곤해 할 때는 일찍 자게 하세요.
· 선배님이 저희에게 매일 신문을 읽게 하셨어요.
· 앤디 씨에게 매일 뉴스를 듣게 하세요.
· 제가 남자친구를 화나게 해서 남자친구가 먼저 가 버렸어요.
· 흐엉 씨를 문밖에서 너무 오래 기다리게 하지 마세요.
· 선생님께서는 줄리아 씨를 말하기 대회에 나가게 하실 거예요.
· 어제 밤에는 너무 늦어서 학생들을 돌아가게 했어요.
· 복도에서는 신발 소리가 나지 않게 해 주십시오.
· 영화관에서는 휴대폰이 울리지 않게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렇게 멀리 오시게 해서 죄송합니다.

* ‘-게 하다1)’은 다른 사람이 어떤 일을 하도록 만들거나 시키는 사동의 의미를 지니므로 ‘더워서 학생들에게 창문을 열게 했어요.’, ‘아이가 피곤해 할 때는 일찍 자게 하세요.’, ‘앤디 씨에게 매일 뉴스를 듣게 하세요.’ 등은 모두 어떤 행위를 시키는 사동의 의미를 나타낸다. 또한 ‘아이들을 몇 시까지 놀게 할까요?’, ‘8시까지 놀게 해요.’는 허용의 의미를 나타낸다. ‘너무 오래 기다리게 하지 마세요.’는 듣는 사람에게 흐엉 씨를 기다리게 만들지 말라고 하는 것이며, ‘제가 남자친구를 화나게 했어요.’도 주어인 자신이 남자친구를 화나게 만들었음을 의미하여 의도적으로 시킨 것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어떠한 행동을 하도록 만듦을 나타낸다.

* ‘핸드폰을 울리지 않게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복도에서는 신발 소리가 나지 않게 해 주십시오.’ 등과 같은 관습적인 쓰임에서 사물이 대상이 되기도 한다. 한편 ‘이렇게 멀리 오시게 해서 죄송합니다.’와 같이 관습적으로 사용되어 상대방을 멀리 오도록 시켰거나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그러한 행위를 하게 만들어서 죄송하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형태 정보

동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관계없이 ‘-게 하다’를 쓴다.

예)
씻- + -게 하다 → 씻게 하다   앉- + -게 하다 → 앉게 하다   먹- + -게 하다 → 먹게 하다
보- + -게 하다 → 보게 하다   가- + -게 하다 → 가게 하다   사- + -게 하다 → 사게 하다
살- + -게 하다 → 살게 하다   알- + -게 하다 → 알게 하다   만들- + -게 하다 → 만들게 하다 

 

형태 사용법

받침 o + -게 하다
씻게 하다, 앉게 하다, 먹게 하다

받침 × + -게 하다
보게 하다, 가게 하다, 사게 하다살게 하다, 알게 하다, 만들게 하다

 

확장

① 대상이 동작을 하도록 주어가 직접적으로 행동하거나 말을 통해 간접적으로 시킨다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니는데, 주로 간접적으로 시킨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
선생님께서 학생에게 책을 보게 해요. (간접적)
선생님께서 학생들을 공부하게 해요. (간접적)
엄마가 아이들이 나가지 못하게 해요. (직접적/간접적)
엄마가 아이들을 싸우지 못하게 해요. (직접적/간접적)


② ‘사동사+-게 하다’의 형태로 쓰여 이중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예)
할머니께서 내가 동생에게 약을 먹이게 했다.
선생님께서 반장한테 시험 날짜를 알리게 하셨어요.
왕밍이 미도리에게 줄리아를 깨우게 했어요.


③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보조사 ‘는’, ‘도’, ‘만’ 등을 ‘-게’와 함께 쓸 수 있다.

예)
비가 와도 창문을 열게는 해 주세요.
아이를 충분히 놀게도 하고 쉬게도 하세요.
아이가 먹게만 하지 말고 치우는 것을 돕게도 하세요.


④ ‘-게 하다’를 강조하기 위해서 ‘-게끔 하다’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
화면을 멀리서도 보게 해 주세요.= 화면을 멀리서도 보게끔 해 주세요.
수업 시간에 졸지 않게 해 주세요.= 수업 시간에 졸지 않게끔 해 주세요.


⑤ 주체가 대상에게 어떤 일을 하도록 허락한다는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예)
선생님, 화장실에 다녀오게 해 주세요.
우리 엄마는 밤 12시까지 텔레비전을 보게 하신다.
줄리아 씨가 왕밍 씨가 휴대폰을 빌려 쓰게 해 줬어요.

* 허락의 의미를 강조하여 나타내기 위해 ‘-어 주다’와 결합하여 ‘-게 해 주다’의 구성으로 자주 사용된다.


⑥ 대상이 사람이 아닌 경우에는 대상이 운영되거나 움직이게 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
시간이 늦었지만 교수님께서는 토론이 계속 진행되게 하셨다.
왕밍이 라디오가 다시 켜지게 했다.

 


 

내용 출처 :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