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Language/교수

(형)-게 하다2 / A-게 하다2 / 중급 보조동사

by Flicia 2022. 8. 15.

문법 보러 가기

 

도입

(1)
교사: (작은 목소리로) 여러분, 제 목소리가 잘 들려요?
학생: 아니요, 잘 안 들려요.
교사: (작은 목소리로) 목소리를 어떻게 할까요?
학생: 크게요.
교사: (큰 목소리로) 목소리를 크게 만들어요. 목소리를 크게 해요. (작은 목소리로) 목소리를 작게 만들어요. 목소리를 작게 해요.‘-게 하다’는 어떻게 만든다는 뜻이에요.

(2)
교사: 미도리 씨는 언제 기분이 좋아요?
학생: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 기분이 좋아요.
교사: 맛있는 음식이 미도리 씨 기분을 좋게 만들어요. 맛있는 음식이 미도리 씨 기분을 좋게 해요. 저는 쇼핑을 하면 기분이 좋아요.쇼핑이 기분을 좋게 만들어요. 쇼핑이 기분을 좋게 해요.

* (1)과 (2)를 통해 ‘-게 하다2)’가 형용사와 결합하여 어떤 상태 및 상황이 되도록 만든다는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1)은 교사가 주어가 되어 교실에서 만들어 낼 수 있는 상황을 가지고 의미를 설명하며, (2)에서는 ‘기분을 좋거나 나쁘게 만드는 것’에 해당하는 행위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게 하다2)’의 의미를 설명한다.

 

담화 예문

가: 흐엉 씨, 왜 울고 있어요?
나: 이 영화가 저를 슬프게 해요
.
가: 무슨 내용인데요?
나: 전쟁이 나서 가족과 헤어지는 내용이에요.

가: 선생님 내일 면접시험을 봐요.
가: 그래요? 평소대로 하면 잘할 수 있을 거예요.
나: 감사합니다. 하지만 준비를 많이 못 해서 긴장이 돼요.
가: 긴장하지 말고 마음을 편하게 하세요.

 

문장 예문

· 지하철에서 시끄럽게 하면 안 됩니다.
· 비가 공기를 깨끗하게 해요.
· 잠을 잘 때에는 방을 어둡게 하세요.
· 이별이 제 가슴을 아프게 합니다.
· 운동은 저를 건강하게 합니다.
· 맛있는 냄새가 우리를 더 배고프게 해요.
· 요리는 맛있게 하는 게 중요해요.
· 더워서 머리를 짧게 했어요.
· 바람이 날씨를 더 춥게 해요.
· 더운 여름일수록 몸을 따뜻하게 하고 휴식을 충분히 취해야 한다.

* ‘-게 하다2)’는 ‘-게 하다1)’과 달리 형용사와 결합하므로 시킨다는 의미와 호응될 수가 없다. 따라서 어떠한 상태가 되도록 만들었다는 의미로 사용되므로 ‘머리가 아파서 소리를 작게 했어요.’는 주어인 내가 텔레비전의 소리를 작게 만들었다는 의미이며, ‘이 책이 저를 슬프게 해요.’는 주어인 책으로 인해 내가 슬픈 상태에 이르렀다는 의미이다.

 

형태 정보

형용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관계없이 ‘-게 하다’를 쓴다.

예)
어둡- + -게 하다 → 어둡게 하다   밝- + -게 하다 → 밝게 하다
짧- + -게 하다 →짧게 하다   길- + -게 하다 → 길게 하다
아프- + -게 하다 → 아프게 하다   크- + -게 하다 → 크게 하다
깨끗하- + -게 하다 → 깨끗하게 하다   행복하- + -게 하다 → 행복하게 하다

 

형태 사용법

받침 o + -게 하다
어둡게 하다, 밝게 하다, 작게 하다, 길게 하다

받침 x + -게 하다
아프게 하다, 크게 하다, 깨끗하게 하다, 행복하게 하다

* 앞의 ‘-게 하다1)’과 달리 형용사와만 결합하므로 이에 주의한다.

 

확장

①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보조사 ‘는’, ‘도’, ‘만’ 등을 ‘-게’와 함께 쓸 수 있다.

예)
하이힐은 다리를 예쁘게는 하지만 건강하게는 하지 못해요.
아이는 부모를 기쁘게도 하고 슬프게도 합니다.
동생은 나를 귀찮게만 해요.


② ‘-게 하다’를 강조하기 위해서 ‘-게끔 하다’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
휴대폰은 우리의 생활을 매우 편리하게 해 줍니다.= 휴대폰은 우리의 생활을 매우 편리하게끔 해 줍니다.
이 영화가 나를 더 슬프게 한다.= 이 영화가 나를 더 슬프게끔 한다.

 


 

내용 출처 :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