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Language/교수

(동)-거니와, (형)-거니와 / V-거니와, A-거니와 / 초급 연결어미

by Flicia 2022. 8. 8.

문법 정보 보러 가기

 

도입

(1)
교사: 마이클 씨, 지난 방학에 제주도에 다녀왔지요? 제주도는 어땠어요?
학생: 경치가 정말 아름다웠어요.
교사: 그래요. 경치가 정말 아름답지요? 그리고 사람들도 아주 친절해요.
학생: 아, 정말 그랬어요.
교사: 제주도는 경치도 아름답고 사람들도 친절해요. 제주도는 경치도 아름답거니와 사람들도 친절해요.
‘-거니와’는 앞의 사실을 인정하면서 그에 대해 뒤의 사실을 더할 때 사용해요.

(2)
교사: 히로 씨는 술 마셔요?
학생: 아니요. 안 마셔요.
교사: 담배는요?
학생: 담배도 안 피워요. 건강에 안 좋거든요.
교사: 그렇군요. 여러분, 히로 씨는 술은 물론 안 마시고 담배도 안 피워요.
히로 씨는 술도 안 마시거니와 담배도 안 피워요.

* ‘-거니와’를 도입하기 위해 학습자들의 여행 경험이나 한국에 대한 인상에 대해 묻는 것도 좋다. 혹은 학습자의 습관이나 어떤 대상에 대한 좋은 점을 물어 두 개 이상의 사실을 덧붙여서 말하도록 유도한다. ‘-고’는 두 사실을 단순히 나열하거나 연결하지만 ‘-거니와’는 앞의 사실을 인정하면서 그에 대해 뒤의 사실을 더하는 느낌이 있다는 설명을 덧붙일 수 있다.

 

담화 예문

가: 월드컵이 시작돼서 응원 열기가 정말 뜨겁네요.
나: 선생님도 축구 좋아하세요?
가: 그럼요. 축구 선수 김민준 씨 팬이에요. 앤디 씨는 축구 선수 중에 누구를 좋아하세요?
나: 전 김영수 선수를 정말 좋아해요. 공격도 잘하거니와수비도 정말 완벽하게 잘하거든요.

가: 현우 씨 형님께서 결혼하신다면서요?
나: 네. 다음 달에 하세요.
가: 형수 되실 분은 어떤 분이세요?
나: 성격도 정말 좋거니와 음식 솜씨도 좋으세요.

(텔레비전 뉴스)
가: 사고 현장에 김영수 기자 불러 보겠습니다. 김영수 기자.
나: 네, 현장에 나와 있는 김영수입니다.
가: 이번 사고로 인명 피해도 상당히 컸다고 들었습니다.
나: 네. 인명 피해도 상당히 컸거니와 지역 주민들의 물질적 피해도 상당했습니다.

 

문장 예문

· 민준이는 노래도 잘하거니와 춤도 잘 춘다.
· 이번 사고로 손해를 본 돈도 돈이거니와 인명 피해도 컸다.
· 날도 어둡거니와 비까지 내리고 있으니 내일 떠나는 게 좋겠다.
· 그는 일도 잘하거니와 성격도 좋아서 어디를 가나 환영을 받는다.
· 경주는 박물관 구경을 할 수 있거니와 왕의 무덤도 볼 수 있어서 여행하기 좋다.
· 사형 제도는 범죄자의 인권을 존중하지 않는 행위이거니와 비인도적인 행위이기 때문에 금지되어야 한다.
· 비빔밥은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되거니와 채소가 많아 건강에도 좋다.
· 다시 한 번 말하거니와 내일은 절대 늦으시면 안 됩니다.
· 거듭 부탁드리거니와 이번 회의는 매우 중요하니 모두 참석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저는 의사도 아니거니와 이 병에 대해 아무것도 모릅니다.
· 그는 알찬 대학 시절을 보냈다. 그는 학과 공부도 열심히 했거니와 자원봉사 등의 활동도 활발히 했다.

* ‘-거니와’는 구어보다는 문어에 주로 사용되고 구어에 사용될 경우에는 격식적인 상황이나 뉴스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민준이는 노래도 잘하거니와 춤도 잘 춰요.’보다는 ‘민준이는 노래도 잘하거니와 춤도 잘 춘다.’ 또는 ‘김민준 씨는 노래도 잘하거니와 춤도 잘 춥니다.’와 같이 문어나 격식적인 문장에서 자주 사용된다.

 

형태 정보

① 동사 및 형용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관계없이 ‘-거니와’를 쓴다.
예)
먹- + -거니와 → 먹거니와  읽- + -거니와 → 읽거니와
춥- + -거니와 → 춥거니와  돕- + -거니와 → 돕거니와
길- + -거니와 → 길거니와  만들- + -거니와 → 만들거니와
가- + -거니와 → 가거니와  보- + -거니와 → 보거니와
사- + -거니와 → 사거니와  일하- + -거니와 → 일하거니와
 
① 받침 o + -거니와
먹거니와, 읽거니와, 춥거니와, 돕거니와, 길거니와, 만들거니와
받침 x + -거니와
가거니와, 보거니와, 사거니와, 일하거니와
② ‘이다, 아니다’는 ‘-거니와’를 쓴다.
단, ‘이다’ 앞의 명사에 받침이 없으면 주로 ‘이’를 생략하여 ‘명사+-거니와’라고 쓴다.
예)학생 + -이거니와 → 학생이거니와  친구 + -이거니와 → 친구이거니와/친구거니와

 


내용 출처 :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