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Language/교수

(명) -밖에 / 초급 조사

by Flicia 2023. 7. 20.

문법 보러 가기

 

도입

(1)
교사: 교실에 한국 사람이 몇 명 있어요?
학생: 한 명 있어요.
교사: 한국 사람이 또 있어요?
학생: 아니요. 없어요.
교사: 교실에 한국 사람이 한 명 있어요. 한 명밖에 없어요.

(2)
교사: (책상 위에 책 한 권만 올려놓은 후에) 책상 위에 무엇이 있어요?
학생: 책이 있어요.
교사: 연필이 있어요?
학생: 아니요. 없어요. 책만 있어요.
교사: 책상 위에 책만 있어요. 책밖에 없어요.

* ‘밖에’를 도입할 때는 오직 그것만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해 주는 것이 좋다. (1)에서와 같이 제한적으로 정해져 있는 수량적 선택 상황을 보여 주거나, (2)와 같이 한정된 종류를 보여 주면서 다른 가능성이 없음을 인지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밖에’를 도입한다.

 

담화 예문

가: 수지 씨, 교실에 사람이 많아요?
나: 아니요. 3명 밖에 없어요.

가: 수지 씨, 생일에 선물을 많이 받았어요?
나: 아니요. 하나 밖에 못 받았어요.

가: 앤디 씨, 약속 시간이 얼마나 남았어요?
나: 시간이 조금 밖에 안 남았어요. 빨리 가요.

가: 영수 씨, 가방에 무엇이 있어요?
나: 가방 안에 책 밖에 없어요.

가: 마이클 씨, 어젯밤에 잘 잤어요?
나: 아니요. 잠이 안 와서 4시간 밖에 못 잤어요.

 

문장 예문

· 왕밍 씨는 운동을 일주일에 한 번밖에 안 해요.
· 저는 지금 돈이 천 원밖에 없어요.
· 줄리아 씨가 숙제를 조금밖에 못 했어요.
· 다이어트를 빨리 하기 위해서는 그 방법밖에 없어요.
· 식탁 위에 남은 음식이 하나밖에 없다.
· 페이페이 씨는 남자 친구밖에 몰라요.
· 이번 시험에 합격한 사람은 앤디 씨밖에 없다.
· 수지 씨는 한국에서 서울밖에 몰라요.
· 작년 크리스마스에 선물을 한 개밖에 못 받았어요.
· 어제 돈이 부족해서 이렇게밖에 선물을 살 수 없었습니다.


* ‘밖에’는 다른 가능성이나 상황에 대한 여지가 없으며, 앞에 사용하는 명사가 유일한 선택임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보조사이다.

 

형태 정보

① 명사의 끝음절 받침 유무에 관계없이 ‘밖에’를 쓴다.

(예)
학생 + 밖에 → 학생밖에
가방 + 밖에 → 가방밖에
서울 + 밖에 → 서울밖에
주말 + 밖에 → 주말밖에
친구 + 밖에 → 친구밖에
영화 + 밖에 → 영화밖에
하나 + 밖에 → 하나밖에
우유 + 밖에 → 우유밖에

 

형태 사용법

받침 o + 밖에학생밖에, 가방밖에, 서울밖에, 주말밖에
받침 x + 밖에친구밖에, 영화밖에, 하나밖에, 우유밖에

 


내용 출처 : 국립국어원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