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Language/교수

(동)-거나(2), (형)-거나(2) / V-거나(2), A-거나(2) / 초급 연결어미

by Flicia 2022. 8. 7.

의미, 용법, 형태 보러 가기

 

도입

(1)
교사: 여러분 우리 주말에 같이 밥을 먹어요. 어때요?
학생: 좋아요.
교사: 아니면 같이 영화를 볼까요?
학생: 네, 좋아요.
교사: 밥을 먹을까요? 영화를 볼까요? 시간이 없어서 한 가지만 해요. 어떤 걸 할까요?
학생: 다 좋아요.
교사: 주말에 밥을 먹거나 영화를 보거나 다 좋아요.

(2)
교사: (멋있는 자동차 사진을 보여 주며) 여러분, 이 차가 어때요?
학생: 멋있어요.
교사: 왕밍 씨, 이 차를 사고 싶어요?
학생: 네, 사고 싶어요.
교사: 그런데 이 차가 비싸요. 그래도 괜찮아요?
학생: 네. / 아니요.
교사: 선생님도 이 차를 사고 싶어요. 이 차가 비싸요. 그렇지만 괜찮아요. 이 차를 사고 싶어요. 이 차가 싸요.
그것도 괜찮아요. 이 차를 사고 싶어요. 이 차가 비싸거나 싸거나 사고 싶어요.

* ‘-거나2)’를 도입할 때 학생들에게서 두 가지 이상의 대립되는 상황을 제시한 다음, 두 가지 중 어떤 것을 선택해도 모두 상관없다는 뜻을 나타낼 때 사용함을 알려 준다.

 

담화 예문

가: 오늘도 왕밍 씨가 안 왔어요?
나: 왕밍 씨가 오거나 안 오거나미도리 씨는 열심히 공부하세요.

가: 사전이 너무 비싸요.
나: 싸거나 비싸거나 사전은 필요하니까 꼭 사야 해요.

가: 마이클 씨는 정말 성실해요.
나: 네, 시험이 있거나 없거나 항상 열심히 공부해요.

가: 빨리 준비해라. 학교에 늦겠다.
나: 제가 학교에  늦거나 말거나 그냥 내버려 두세요.

가: 영수 씨는 합격이에요.
나: 저는 영수 씨가  합격이거나 불합격이거나 관심 없어요.

 

문장 예문

· 치마를 입거나 바지를 입거나 마음대로 하세요.
· 농구를 하거나 축구를 하거나 다 좋아요.
· 음식이 맛있거나 맛없거나 상관없이 다 먹을 거예요.
· 방이 크거나 작거나 저는 그 집에서 살고 싶어요.
· 성적이 좋거나 나쁘거나 상관없이 진급을 할 수 없어요.
· 그 사람이 듣거나 말거나 하고 싶은 말을 다 하고 왔어요.
· 당신이 불편하거나 말거나 내 친구를 데리고 올 거예요.
· 손님이 오거나 말거나 나랑 상관없어요.
· 친구가 기다리거나 말거나 항상 약속 시간을 지키지 않아요.
· 한국 사람이거나 중국 사람이거나 가리지 않고 회원을 받아요.

* ‘-거나2)’는 서로 상반되는 두 개 이상의 행위나 상태를 제시하여 어느 쪽이든 상관없이 뒤의 내용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농구를 하거나 축구를 하거나 다 좋아요’는 농구를 해도 좋고 축구를 해도 좋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 ‘-거나 말거나’ 꼴로 쓰여 ‘-거나’와 결합하는 상태나 행동에 대해 긍정과 부정을 나열하고 그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상관없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당신이 불편하거나 말거나 내 친구를 데리고 올 거예요.’는 당신이 불편한 것과 상관없이 나는 내 친구를 데리고 오겠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형태 정보

① 동사 및 형용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관계없이 ‘-거나’를 쓴다.

예)
앉- + -거나 → 앉거나   줍- + -거나 → 줍거나
오- + -거나 → 오거나   다니- + -거나 → 다니거나
놀- + -거나 → 놀거나   만들- + -거나 → 만들거나
좋- + -거나 → 좋거나   넓- + -거나 → 넓거나
크- + -거나 → 크거나   예쁘- + -거나 → 예쁘거나
길- + -거나 → 길거나   멀- + -거나 → 멀거나
* 어떤 동사나 형용사가 와도 형태가 변하지 않음에 주의한다.

② ‘이다, 아니다’는 ‘-거나’를 쓴다. 단, ‘이다’ 앞의 명사에 받침이 없으면 주로 ‘명사+-거나’라고 쓴다.

예)
가방이- + -거나 → 가방이거나   꽃이- + -거나 → 꽃이거나
과이- + -거나 → 사과이거나/사과거나   의자이- + -거나 → 의자이거나/의자거나
아니- + -거나 → 아니거나 

* ‘N+-거나’는 격식적인 문어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다.

 

형태 사용법

받침 o + -거나
앉거나, 줍거나, 놀거나, 만들거나,좋거나, 넓거나, 길거나, 멀거나

받침 x+ -거나
오거나, 다니거나, 크거나, 예쁘거나

 

확장

① ‘-거나’는 ‘-건’으로 줄여 쓸 수 있다.
예)
내가 아침에 치킨을 먹거나 불고기를 먹거나 상관하지 마세요.= 내가 아침에 치킨을 먹건 불고기를 먹건 상관하지 마세요.네가 믿거나 말거나 그건 모두 사실이야.= 네가 믿건 말건 그건 모두 사실이야.

② ‘간에, 상관없이’ 따위가 뒤따라 뜻을 분명히 한다.
예)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추거나 간에 네 마음대로 해라.영희가 꽃을 좋아하거나 좋아하지 않거나 상관없이 나는 꽃을 선물했다.

③ ‘무엇, 어디, 누구, 언제, 어떻게’ 등과 함께 사용하여 모든 경우에 해당이 됨을 나타낼 때 사용할 수 있다.
예)
수지 씨는 무엇을 하거나 열심히 해요.줄리아 씨는 어디에 가거나 사랑받을 거예요.앤디 씨가 누구와 사귀거나 상관하지 마세요.내가 어떻게 하거나 신경 쓰지 않아도 돼요.

* 이때도 ‘수지 씨는 무엇을 하거나 간에 열심히 해요, 줄리아 씨는 어디에 가거나 상관없이 사랑받을 거예요’와 같이 ‘-거나’의 뒤에 ‘간에, 상관없이’를 사용해서 뜻을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다.

 

내용 출처 :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