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rean Language/문법

(동)-거나, (형)-거나 / v-거나, adj-거나 / 초급 연결어미

by Flicia 2022. 8. 6.

교수방법 보러가기

 

의미와 용법

선택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동사나 형용사, ‘이다, 아니다’에 붙어) 둘 이상의 행위나 사실 중 하나를 선택함을 나타낸다. 두 가지 이상의 행동이나 상태를 나란히 나열하고 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때 사용한다.

 

형태 정보

① 동사 및 형용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관계없이 ‘-거나’를 쓴다.

예)
앉- + -거나 → 앉거나  줍- + -거나 → 줍거나
오- + -거나 → 오거나  다니- + -거나 → 다니거나
놀- + -거나 → 놀거나  만들- + -거나 → 만들거나
좋- + -거나 → 좋거나  넓- + -거나 → 넓거나
크- + -거나 → 크거나  예쁘- + -거나 → 예쁘거나
길- + -거나 → 길거나  멀- + -거나 → 멀거나

* 어떤 동사나 형용사가 와도 형태가 변하지 않음에 주의한다.


② ‘이다, 아니다’는 ‘-거나’를 쓴다. 단, ‘이다’ 앞의 명사에 받침이 없으면 주로 ‘명사+-거나’라고 쓴다.

예)
가방이- + -거나 → 가방이거나 
꽃이-+ -거나 → 꽃이거나
사과이- + -거나 → 사과이거나/사과거나 
의자이- + -거나 → 의자이거나/의자거나
아니- + -거나 → 아니거나

* ‘N+-거나’는 격식적인 문어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다.

 

형태 사용법

받침 o + -거나
앉거나, 줍거나, 놀거나, 만들거나,좋거나, 넓거나, 길거나, 멀거나

받침 x + -거나
오거나, 다니거나, 크거나, 예쁘거나

 

문장 구성 정보

① 보통은 두 가지 다른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하지만 세 가지 이상의 내용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재미있거나 슬프거나 감동적인 영화를 좋아해요.
주말에 보통 텔레비전을 보거나 컴퓨터 게임을 하거나 만화책을 봐요.
모르는 단어는 사전을 찾거나 친구에게 묻거나 선생님께 여쭈어 봅니다.

② ‘-거나’ 뒤에 ‘하다’가 나타날 수 있다. ‘-거나 -거나’ 구성으로 쓰일 때는 뒤에 ‘하다’가 온다.
예)나는 일요일에 청소를 하거나 합니다.
남학생들은 운동장에서 친구들과 축구를 하거나 해요.
감기에 걸리면 약을 먹거나 병원에 가거나 해요.
방학 때 고향에 가거나 서울에 남거나 할 거예요.

 

제약 정보

① 앞 절과 뒤 절의 주어가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예)나는 잠이 안 오면 목욕을 하거나 (나는) 따뜻한 우유를 마셔요. (o)
네가 민수를 도와주거나 내가 민수를 도와줘야 한다. (o)

② 과거 ‘-었-’은 사용하지만, 미래 · 추측의 ‘-겠-’은 사용하지 않고 현재 시제로 쓴다. 미래의 뜻은 문장의 마지막에 나타낸다.

예)그 사람은 나를 좋아했거나 내 동생을 좋아했을 것이다. (o)
그 사람은 나를 좋아하거나 내 동생을 좋아했을 것이다. (x)
내일 백화점에 가거나 마트에 갈 거예요. (o)내일 백화점에 가겠거나 마트에 갈 거예요. (x)

 

 


 

내용 출처 :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