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부터 학사 편입, 자격증 취득과정을 수강해오면서
점점 강의의 난이도도 올라가고 맛보기 급인 '개론'을 지나
실무, 실습에 적용 가능한 강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 과정 중 하나로 한국어 수업 교안을 만들고 있다
내가 듣고있는 과정은 학사 및 한국어교원자격증 2급 취득이 가능하며
실제로 어학당에서 강의를 하는 실습이 포함되어있다
최근에 만든 교안은 한국어능력시험 TOPIK 1급 수준의 학생들이 대상이다
한국어능력시험은 TOPIK I (1-2급), TOPIK II (3-6급)으로 구성 되는데
보통 1,2급 초급 / 3,4급 중급 / 5,6급 고급으로 본다
학생들의 한국어 레벨에 따라 어투, 사용 가능한 어휘, 문법 등을 잘 고려하여 만들어야한다
자칫 이 정도면 알아 듣겠지 하여 교안을 만들었다가는 A 어휘를 가르치기 위해 사용한 B 어휘까지 같이 설명하게 된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레벨 별 학습하여야 하는 단어들이 정리된 자료가 있는데
이 자료를 참고하여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내용도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등 의사소통에 사용하게 되는 모든 부분을 넣어야하며
교사와 학생, 한국어를 제2언어로 학습하는 학생들끼리의 커뮤니케이션 활동까지 들어가야한다
실제로 내가 한국어를 외국어로 공부한다면 어떤 부분이 들어가면 좋을지를 바탕으로 제작해
피드백 할 부분이 없고 많이 고민한 흔적이 느껴지는 교안이라는 피드백이 있었다
학생때부터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직업을 꿈꾸기도 했고
그동안 외국어를 공부하면서 많은 교재를 접해본것이 도움이 되었다
확실히 외국어 공부를 해보거나 외국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본인이 아쉬웠던 점을 반영한 교안을 만드는 것 같다
뭐든지 경험이 중요하다
'Working > Languag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 친구 사귀기, 외국어 공부 어플 사용 후기 (장단점) (0) | 2022.04.06 |
---|---|
04_기계 번역 vs 인간 번역 (0) | 2021.12.09 |
03_내가 3개 외국어를 구사하는 방법 (0) | 2021.08.02 |
02_내적동기VS외적동기, 통합적동기VS도구적동기 (0) | 2021.07.01 |
00_전세계 2%라는 4개국어 구사자 (0) | 2021.04.17 |